📅 발행일: 25.09.24 오후 브리핑
🏷️ 카테고리: IT/과학
📊 주요 뉴스: 2건 선별
⏱️ 읽기 시간: 약 3분
📰 오늘의 주요 뉴스
KT가 최근 발생한 대규모 해킹사고와 관련하여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 관리 부실을 인정하며, 사고 은폐 의혹에 대한 해명을 시도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국회 청문회에서 ‘펨토셀 관리 실태에 여러 문제가 있었다’고 언급하며, 사고 초기의 정보 발표가 늦어진 이유를 데이터 양이 많아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의 고의성을 조사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경찰 수사 의뢰도 검토 중이다.
한편, 제18호 태풍 ‘라가사’가 NASA 위성에 포착되며 그 위력이 주목받고 있다. 이 태풍은 필리핀을 강타한 후 대만과 홍콩으로 북상하고 있으며, 대만에서는 홍수로 인해 최소 14명이 사망하고 124명이 실종된 상황이다. 라가사는 최대 풍속이 시속 270km에 달하는 슈퍼 태풍으로, 여전히 강력한 바람을 동반하고 있어 각국의 비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홍콩에서는 태풍의 영향으로 700편 이상의 항공편이 취소되고, 학교와 유치원이 휴교에 들어가며 도시가 사실상 폐쇄된 상태다.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도 100만명이 넘는 인원이 대피하고, 여러 도시에서 학교와 공장이 문을 닫는 등 큰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 Top 2 뉴스 상세
#1 KT, 해킹 사고 관리 부실 인정…사퇴 요구는 유보
📰 요약
KT가 최근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건과 관련해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 관리의 부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국회 청문회에서 '펨토셀 회수 과정이 허술했다'고 밝히며, 사고 은폐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의 사고 은폐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경찰 수사를 의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KT는 사고 초기 피해 규모를 축소 발표한 것에 대해 데이터 양이 방대해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지만, 이는 신뢰성에 큰 타격을 주었다. 실제로 KT는 피해 인원과 금액을 처음 발표한 것보다 두 배 이상 수정했으며, 개인정보 유출 정황도 초기와 달리 여러 차례에 걸쳐 밝혀졌다. 이와 관련해 황정아 의원은 KT의 피해 조사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김 대표는 '사태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변했다.
향후 KT는 모든 소액결제 인증 방식을 대상으로 피해를 분석하고 있으며, 과기정통부는 고의성이 확인될 경우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사퇴 요구에 대해 즉답을 피하며, 현재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89398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89398
📅 발행: 2025-09-24 13:07 (수집: 2025-09-24 13:07)
#2 '슈퍼 태풍' 라가사, 아시아를 강타하다
📰 요약
제18호 태풍 '라가사'가 NASA 위성에 포착되며 그 위력을 드러냈습니다. 이 태풍은 필리핀을 지나 대만과 홍콩으로 북상 중이며, 최대 풍속이 시속 270km에 달하는 강력한 슈퍼 태풍으로 기록되었습니다. 특히, 태풍의 눈이 선명하게 촬영된 모습은 그 위력을 더욱 실감나게 합니다.
라가사는 대만에서 최소 14명의 사망자를 초래하고 124명이 실종되는 등 큰 피해를 입혔습니다. 대만 동부 지역에는 700mm의 폭우가 쏟아져 홍수가 발생했으며, 홍콩에서는 700편 이상의 항공편이 취소되고 학교가 휴교에 들어가는 등 도시가 사실상 마비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 남부 광둥성에도 영향을 미쳐 100만명이 넘는 인원이 대피하는 등 비상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라가사의 경로가 계속해서 아시아 지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각국은 태풍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비가 필요합니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577588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577588
📅 발행: 2025-09-24 13:07 (수집: 2025-09-24 13:07)
📝 이 포스트는 AI 기반 뉴스 수집 및 요약 시스템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